영상처리7 비트맵 영상의 컬러표현 비트맵 영상의 단위 픽셀 색은 파일에 따라 정밀도가 다릅니다. 각각의 파일마다 내부적으로 하나의 픽셀을 몇 비트로 표현하는가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있고 이에 따른 다양한 컬러 모두가 존재합니다. 트루(True) 컬러 모드 영상의 단위픽셀은 24비트를 가집니다. R, G, B가 각각 8비트씩을 가지고 있으므로 한 픽셀당 24비트를 사용합니다. 당연히 영상파일의 크기는 커지게 되나 픽셀에서 표현 가능한 컬러의 수는 $2^{24}$ = 1,600만 컬러가 되므로 최고의 컬러 수로 영상을 저장하고 표현 가능 인덱스에 의한 컬러 모드 디스크 용량이 충분하다면 모든 영상파일을 트루컬러 영상으로 저장하면 좋다. 물리적 한계가 있으면 Index 컬러모드로 저장 단위 픽셀 당 24비트를 8비트나 16비트로 줄여 저장하기.. 2021. 1. 6. 이미지 파일의 RAW 헤드 내에는 영상의 크기, 컬러의 수, 팔레트 등 다양한 정보가 들어있다. RAW파일은 헤드정보가 없으며 파일을 읽기 위해서는 영상의 크기를 미리 알아야 한다. 참고 서적 : Visual C++와 OpenCV로 배우는 디지털 영상처리 2021. 1. 5. 디지털 영상의 내부 & 특징 디지털 영상의 내부 아래는 전형적인 디지털 영상 입니다. 가로 및 세로의 크기가 X 및 Y인 픽셀(pixel, 화소)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저장된 영상데이터는 2차원 배열(array) 형태를 이룹니다. 영상데이터의 값은 흑백 영상인 경우 각 픽셀이 0~255 값을 가지며, 각 값들은 픽셀의 밝기값을 표현합니다. 가장 어두운 픽셀은 0의 값을 가지며 255는 가장 밝은 데이터값을 표현합니다. 각 픽셀 당 8비트($2^8$ = 256)의 데이터를 가지므로 흑백 영상 하나의 크기는 X x Y x 8 비트(bit)가 됩니다. 컬러영상의 경우 픽셀은 색을 표현하기 위해 각각 256단계의 R, G, B 데이터를 가집니다. 따라서 한 장의 컬러영상 크기는 X x Y x 8 x 3 비트가 됩니다. 디지털 영상처리의 특.. 2021. 1. 5. 이전 1 2 다음